쏘렌토 만큼 넓은데 ‘2천만 원’… SUV 시장 뒤집어 놓은 역대급 신차 등장

0
00

사진 출처 = Mitsubishi

쏘렌토, 싼타페와 실내 크기 비슷
그러나 단돈 2천만 원대에 불과해
가성비 최강 등극한 ‘이 차’의 정체

사진 출처 = Mitsubishi

국내 소비자에게 3열 SUV 모델은 생각보다 진입장벽이 높은 영역이다. 생각보다 선택지는 많지 않고, 존재하는 모델들 역시 가격이 높아 부담스러운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꼽히는 모델로는 현대차의 싼타페, 기아의 쏘렌토 등 중형 SUV 모델들이 있지만, 이들 모두 3열을 선택하려면 3천만 원 중후반 이상의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이런 흐름 속에서 미쓰비시가 동남아시아 시장을 겨냥해 선보인 ‘데스티네이터(Destinator)’가 주목받고 있다. 해당 모델은 독특하게도 준중형 SUV 차체에 3열 구조를 갖췄는데, 이를 기반으로 실용성과 가격 경쟁력 모두를 내세우며 새로운 수요층을 겨냥한다. 3열 SUV 선택지가 부족한 국내 시장에도 적잖은 관심을 불러올 수 있는 모델로 보여진다. 

사진 출처 = Mitsubishi
사진 출처 = Mitsubishi

차체는 작아도 실내는 넓어.. 실용성 최우선

미쓰비시 데스티네이터의 전장은 4,680mm로  싼타페(4,830mm), 쏘렌토(4,815mm)보다는 확실히 짧다. 그러나 실내 공간 크기를 결정짓는 휠베이스는 2,815mm로 이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전체적인 차체 크기를 줄이면서도 실내 공간은 극대화한 셈이다. 이 덕분에 3열 좌석까지 포함된 7인승 구성이 가능하다.

물론 3열의 성인 거주성이 대형 SUV만큼 넉넉하진 않다. 하지만 필요 시 아이나 단거리 승차에 활용할 수 있고, 평소에는 짐칸으로도 전환이 가능하다. 실용성을 최우선으로 두는 운전자라면 이 유연한 구성에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다.

사진 출처 = Mitsubishi
사진 출처 = Mitsubishi

부족함 없는 합리적 성능, 가격도 저렴해

데스티네이터의 파워트레인은 1.5L 가솔린 터보 엔진을 채택하고있다. 최고 출력은 161마력, 최대 토크는 250Nm. 물론 해당 수치만 보면 성능이 뛰어나게 강력하다고 보긴 어렵다. 하지만 경량화된 차체와 맞물리면 일상 주행에서는 부족함이 없다는 평가다. 도심과 교외를 오가는 다목적 운용에도 적합한 스펙이다.

해당 모델의 핵심 경쟁력은 가격에 있다. 현지 시장 기준 2천만 원대 초반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국내 도입 시 환율과 세금을 감안해도 2천만 원대 후반 수준에서 출발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기존 중형 SUV 대비 1천만 원 이상 저렴한 진입 가격이다.

사진 출처 = Mitsubishi
사진 출처 = Mitsubishi

기존 시장 틈새 겨냥, 국내에도 시사점 던져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준중형 3열 SUV는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그렇다 보니 3열 SUV를 원한다면 자동적으로 더 큰 모델의 선택이 필수며, 당연히 높은 가격을 감수해야만 했다. 데스티네이터는 이러한 틈새시장을 정확히 공략한 모델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크기는 작지만 3열 좌석을 갖춘 구성, 거기에 가격까지 낮춘 미쓰비시의 전략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가족이 많지 않거나, 평소에는 2열까지만 사용하면서도 간헐적으로 3열이 필요한 소비자라면 해당 모델이 갖춘 실용성에 크나 큰 매력을 느낄 수 있겠다. 또한 다양한 짐을 효율적으로 싣고 다녀야 하는 사용자에게도 유용한 선택이 될 가능성이 크다. 

물론 미쓰비시 브랜드는 현재 국내 시장에서 철수한 상태이며, 유통망이나 판매 전략 측면에서도 사실상 연계 가능성이 전무하다는 점에서 해당 모델의 국내 출시 가능성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간 효율성과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이와 같은 소형 3열 SUV가 보여주는 상품 기획력은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분명한 시사점을 던진다. 기술적 기반과 생산 역량이 충분한 국내 완성차 브랜드들이 이러한 틈새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시장 다변화와 소비자 선택권 확대에 기여하는 모델을 선보이길 기대해본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