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부터 회복한다’ 문제 많던 싼타페 변속기.. 이렇게 바꾸겠다 선언

0
00

사진 출처 = Road&Track

문제 많았던 싼타페 8단 DCT, 결국 빠진다
대규모 리콜에 결국 신뢰 회복 나서는 현대차

사진 출처 = Reddit

현대차가 2026년형 싼타페 및 싼타크루즈에 기존 8단 듀얼클러치 자동변속기(DCT)를 배제하고, 전통적인 토크컨버터 방식의 8단 자동변속기를 새롭게 도입한다. 이는 단순한 파워트레인 개선이 아니라, 신뢰 회복을 위한 전략적 조치로 해석된다.

현대차는 고객 경험과 내구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변속기 구조를 근본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최근 미국 시장에서 발생한 대규모 리콜 사태 이후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을 입은 만큼, 기술적 보완보다 근본적인 해법을 선택한 셈이다.

사진 출처 = Hyundai
사진 출처 = Hyundai

문제 많았던 싼타페 변속기, 전문가들도 지적

2024년형 싼타페 터보 모델에 적용된 8단 DCT는 미국에서만 1만 2천 대가 리콜 대상에 포함됐다. 변속기 내부 기어 손상, 오일 누유, 작동 불능 등의 결함이 보고되었고, 단순 수리로는 해결이 어려워 전체 유닛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해외 자동차 전문 매체들은 “대상 차량 대부분에서 동일한 결함이 반복됐다”고 보도하며, 시스템 전반의 구조적 문제 가능성을 제기했다. 현대차는 이 같은 논란에 대응해 보다 검증된 자동변속기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사진 출처 = Hyundai
사진 출처 = Reddit

현대차의 공식 입장, 새로운 변속기 쓰겠다

현대차 대변인은 미국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026년형 싼타페 가솔린 모델에는 토크컨버터 방식의 8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될 예정”이라며, “내구성과 주행 질감, 시장 적합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전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듀얼클러치 자동변속기는 빠른 변속 속도와 효율성이 강점이나, 구조적으로 민감한 부품 구성 탓에 내구성과 정체 상황에서의 주행 감각에서 물만이 제기돼 왔다. 울컥거림, 변속 충격 등은 SUV 사용자에게는 부담 요소였다.

사진 출처 = Reddit
사진 출처 = Reddit

SUV에 적합한 해법, 기아는 기존 변속기 유지

반면 토크컨버터 방식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변속과 높은 내구성으로 인해 중형 SUV나 픽업 트럭 등에 더 적합한 솔루션으로 평가받는다. 이번 변속기 변경은 고객의 실사용 경험을 고려한 ‘현실적 선택’으로 보인다.

한편 동일한 플랫폼과 부품을 공유하는 기아는 현 시점에서 듀얼클러치 변속기를 유지할 계획이다. 하지만 형제 브랜드 간의 차별화 전략 속에서도, 향후 쏘렌토 풀체인지 모델 등에서 유사한 변속기 전환이 이뤄질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