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제대로 잡았네요.. 현대차 신형 아반떼, 테스트카 드디어 포착됐다

사진 제작 = 모토다움
현대차가 준비하는 8세대 아반떼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전략 눈길
세대 교체 이상의 진화를 예고했다

현대차가 차세대 전략 모델인 8세대 아반떼(CN8)의 풀체인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유튜브 채널 ‘숏카(인스타그램 @shorts_car)’를 통해 포착된 8세대 아반떼 위장막 테스트카는 완전히 재설계된 외관과 새로운 플랫폼 적용 가능성을 암시하며, 기존 7세대(CN7) 모델과는 차별화된 제품 전략을 드러낸다. 해당 차량은 내·외장 디자인뿐 아니라 전장 부품 및 UX 설계 전반에서 세대 교체 이상의 진화를 예고하고 있다.
전면부에서는 새로운 H자형 주간주행등(DRL) 시그니처가 적용되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는 동시에 시각적 안정감을 부여한다. DRL과 분리 배치된 대형 헤드램프는 범퍼 하단부에 위치하며, 수평형 라디에이터 그릴과 면적 중심 디자인을 통해 입체적 전면 볼륨을 구현했다. 고해상도 ADAS 센서는 중앙 일체형에서 양쪽 분산형 구조로 진화하여, 향후 자율주행 레벨2+ 혹은 레벨3 대응까지 염두에 둔 구성으로 보인다.


쿠페형 라인 탈피, 세단 아키타입 회귀
측면 라인은 7세대의 쿠페형 루프라인을 탈피하고, A필러 및 C필러에 명확한 각을 부여해 클래식 세단 비례감을 회복했다. 특히 C필러에는 오페라 글래스와 두터운 캐릭터 패널이 삽입되어, 시각적 고급감을 강화하는 동시에 후석 공간의 채광성과 개방감을 확보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준중형 세단에서 고급 D세그먼트 수준의 인상 심리적 체감을 유도하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도어 핸들은 BMW와 폭스바겐 방식이 혼합된 인그레이브드 손잡이 구조로 변경되어 사용자 조작성과 디자인 혁신을 동시에 달성했다. 사이드미러는 에어로다이내믹 성능을 고려한 각진 디자인으로 변경되었고, 휠은 고강도 알로이 소재와 공력 최적화 디자인이 반영된 새로운 스타일로 리디자인됐다. 전반적인 외장 부품 설계가 디자인뿐 아니라 기능성과 생산 효율을 동반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후면부는 수직형 확장 리어램프와 트렁크 리드 일체형 스포일러 구조를 통해 시각적 폭확장과 공기역학적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리어램프 역시 H자형 시그니처로 통일감을 부여하였으며, 범퍼 하단 디퓨저는 모듈러 형상의 입체적 요소를 삽입해 시각적 볼륨감을 극대화했다. 이는 전후면 디자인에서 브랜드 정체성과 감성품질을 함께 끌어올리는 이중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실내 변화도 눈길, 디지털 전환 본격화
실내는 현대차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아키텍처인 ‘플레오스(PLEOS)’가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며, 가로형 통합 디스플레이와 음성 인터페이스 중심 조작계로 완전히 재편된다. 물리적 버튼은 최소화되고, 디지털 기반 UX 설계가 전면 적용된다. 아반떼 최초로 적용되는 ‘뱅앤올룹슨’ 사운드 시스템은 프리미엄 오디오 시장의 기술을 하위 세그먼트까지 확장하는 수직 통합 전략의 사례로 해석된다.
후석 공간은 히팅 기능을 포함한 도어트림 일체형 암레스트, 독립 에어벤트, 통합 컵홀더 등으로 구성돼 탑승자의 거주 편의성이 대폭 향상됐다. 이는 전통적인 패밀리카로서의 활용도를 강화하는 동시에, 세단 시장에서 SUV와의 실용성 격차를 해소하려는 시도로 읽힌다. 실내 전반은 상품성 향상뿐 아니라, 브랜드 하위 세그먼트 간 가치 격차 해소 전략의 일부로 풀이된다.
기존과 동일하게 1.6 가솔린, 2.0 LPI, 1.6 하이브리드, 고성능 N 모델까지 다층적 파워트레인 전략을 유지할 전망이다. 하이브리드는 고효율 전동화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며, N 모델은 모듈형 플랫폼 기반으로 서스펜션 및 열관리 시스템을 개선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단일 모델 내에서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려는 제품 세분화 전략의 지속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