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수준이 ‘상상초월’.. 그랜저 페이스리프트, 무려 이렇게 나온다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힐러 Healer TV'
페이스리프트 준비 중인 그랜저
예상되는 변화 수준이 상상 초월?
새로운 그랜저 어떤 변화 보일까

대형급 차체 크기와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를 통해 공개 당시 큰 호평을 받았던 현대차 7세대 그랜저. 이런 그랜저가 이제 페이스리프트를 준비 중이다. 일반적으로 페이스리프트는 일부 구성만을 소폭 수정하는 수준에 그치지만, 이번 변화는 다르다. 단순한 부분 변경을 넘어 사실상 풀체인지급 변화를 보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변화는 점차 경쟁이 심화되는 시장에서 플래그십 세단으로서의 위상을 다시 강화하려는 현대차의 전략으로 해석된다. 그렇다면 새롭게 등장할 그랜저 페이스리프트는 어떤 모습일까. 모토다움은 이번 모델이 담을 변화와 그 가능성에 대해 하나씩 짚어보려 한다.


세로형 헤드램프, 가로형으로 바뀐다
우선 외관이다. 그랜저 페이스리프트는 디자인의 핵심 요소 전반에 걸쳐 큰 폭의 변화가 예고된다. 전면부에서는 기존 심리스 호라이즌 램프가 더욱 날렵한 형상으로 다듬어지고, 상단에는 얇은 크롬 라인이 더해질 것으로 보인다. 세로형이었던 헤드램프는 아이오닉 6와 유사한 가로형으로 바뀌며, 대형화된 그릴에는 이중 역삼각 패턴이 적용돼 고급감이 한층 강조될 전망이다.
측면부에서는 사이드미러 방향지시등이 사라지고, 별도의 사이드 리피터가 새롭게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후면부는 테일램프가 좌우 하단이 돌출된 형태로 변경되며, 그 돌출부에 방향지시등이 자리할 가능성이 크다. 머플러는 듀얼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히든 타입이 적용돼 깔끔한 인상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외관 변화는 요약하자면 전체 비례는 유지하면서 세부 디테일에서 고급감을 강화하는 방향이다.


팰리세이드 실내 디자인+플레오스
실내 변화는 외관보다 더 큰 폭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최근 포착된 스파이샷에 따르면 센터콘솔은 현행 팰리세이드와 넥쏘에 적용된 디자인과 유사한 구성을 보인다. 이는 대시보드를 포함한 전체적인 레이아웃 역시 SUV 중심의 최신 디자인 기조와 닮아갈 가능성을 보여준다. 도어핸들 디자인의 변화도 이러한 레이아웃 조정의 결과물로 풀이된다.
가장 주목받는 부분은 인포테인먼트다. 기존 ccNC가 아닌 차세대 ‘플레오스’ 시스템이 탑재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기아 PV5를 통해 상용화된 만큼, 현대차 입장에서는 이를 빠르게 적용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첫 모델로 그랜저를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16:9 비율의 12.9인치 센터 디스플레이와 크기를 최소화한 디지털 클러스터가 함께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물리 버튼 최소화, 벤츠형 칼럼식 기어
다만 PV5와 달리 그랜저는 승용 플래그십 세단이라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이에 따라 실내 고급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물리 버튼이 최소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경우 주요 기능 조작 대부분이 12.9인치 대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사용자 경험과 고급스러움 모두를 고려한 변화로 해석된다.
변속기의 경우 현행과 동일하게 칼럼식 기어가 유지될 전망이다. 다만 최근 아반떼 스파이샷에서 확인된 벤츠 방식의 칼럼식 기어를 도입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 경우 와이퍼 조작은 방향지시등 레버와 통합되고, 램프 조작 스위치는 송풍구 하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최근 트렌드를 반영해 요크 스타일의 스티어링 휠이 옵션으로 제공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PHEV 추가, 가격은 대폭 오를 전망
파워트레인은 기존 2.5 가솔린, 3.5 가솔린, 1.6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새로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이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구체적인 제원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업계에서는 전기만으로 약 100km 주행이 가능할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출시 시점은 2026년 상반기가 유력하다. 만약 앞서 언급한 변화 대부분이 실제로 적용된다면,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예상되는 인상 폭은 최소 300만 원에서 최대 500만 원 수준으로 거론된다. 공개까지 약 1년여가 남은 상황에서, 새로운 그랜저 페이스리프트가 어떤 모습으로 등장할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